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휴수당 계산법과 지급조건 총정리

by 사고뭉치는 막내 2025. 9. 13.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일한 대가로 반드시 받을 수 있는 법적 권리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주휴수당을 잘 모르는 경우도 많고, 지급 조건과 계산법에서 혼란을 겪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주휴수당 계산법, 지급조건, 계산기 활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1.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1주일 동안 소정근로일을 개근했을 때, 사용자가 유급으로 지급해야 하는 임금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주 15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가 한 주를 빠짐없이 일했다면 ‘유급 주휴일 하루치 임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것이죠.

2. 주휴수당 지급조건

주휴수당 지급조건은?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함
  • 소정근로일을 모두 출근해야 함 (개근 조건)
  • 근로계약서 상 정한 근무일·시간을 충족해야 함

예: 주 5일, 하루 4시간 근무(주 20시간) → 주휴수당 발생

예: 주 2일, 하루 7시간 근무(주 14시간) → 주휴수당 없음

3.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은?

주휴수당은 1일 통상임금 × 주 소정근로시간 ÷ 주 40시간으로 계산합니다.

계산 공식:
주휴수당 = (시급 × 8시간 기준) × (주 소정근로시간 ÷ 40)

예시 ①: 주 5일 × 하루 8시간 (주 40시간)

시급 10,000원 × 8시간 = 80,000원 (주휴수당 전액 발생)

예시 ②: 주 5일 × 하루 4시간 (주 20시간)

시급 10,000원 × (20 ÷ 40) × 8 = 40,000원

예시 ③: 주 3일 × 하루 5시간 (주 15시간)

시급 10,000원 × (15 ÷ 40) × 8 = 30,000원

4.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매번 직접 계산하기 번거롭다면, 고용노동부 주휴수당 계산기나 온라인 계산기를 활용하세요.

  • 근무 요일 수와 1일 근로시간 입력
  • 시급 입력 → 자동으로 주휴수당 계산

👉 고용노동부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5. 주휴수당 미지급 시 대처 방법

주휴수당은 법적 권리이므로, 미지급 시에는 고용노동부에 진정 제기할 수 있습니다.

다만 소송이나 신고 전, 근로계약서·출퇴근記録 등 증빙자료 확보가 중요합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주휴수당은 알바생도 받을 수 있나요?
A. 네, 주 15시간 이상 개근하면 아르바이트 근로자도 당연히 받을 수 있습니다.
Q. 병가·결근이 있으면 주휴수당을 못 받나요?
A. 네, 주휴수당 지급조건인 ‘개근’ 요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지급되지 않습니다.
Q. 주 1일 근무자는 주휴수당이 있나요?
A. 주 15시간 이상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므로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7. 마무리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권리이자, 고용주의 의무입니다. 계산법과 지급조건을 정확히 이해하면 불필요한 갈등을 줄이고 합리적인 근로계약을 맺을 수 있습니다.